본문 바로가기

Error2

재귀(recursion)와 메모이제이션(Memoization) 오늘은 프리코스에서 이머시브로 넘어가는 과정 중에 진행했던 hiring assessment를 페어분과 함께 복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. 그런데 내가 푼 방식이랑 페어분이 푼 방식이 달라 의문을 가졌는데 메모이제이션이라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. ✅ 재귀(recursion)란?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✅ 메모이제이션(Memoization)란? 프로그래밍을 할 때 반복되는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해서 다음에 같은 결과가 나올 때 빨리 실행하는 코딩 기법 바로 예시를 보자면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. 나의 경우 function test6() { // 호출 될 때마다 다음 피보나치 수를 리턴하고 카운트를 저장한다. let count = 0; // 피보나치 수열 함수 function fibonacci(num) { .. 2021. 1. 13.
Destructuring (구조 분해 할당) 생각 오류 🌈 오늘의 교훈 정의를 잘 보자. 특히, 리턴 값이 어떤 형태인지! 구조 분해 할당을 아무 생각없이 예제를 볼 땐 넘어갔지만, 복습하다가 의문이 생겼다. const student = {grade: 'A', major: '기계공학과'}; const {major} = student; console.log(major); // '기계공학과'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데 혼동이 생겼다. 객체를 destructuring하면 객체({major: '기계공학과'})가 나오는 줄 알았었다. 아주 큰 생각의 오류였다! 단지, 말 그대로 (객체라는)구조를 분해해서 (변수에)할당 하는 것..! const {major} = student 는 const major = '기계공학과' 와 같은 뜻이다. 단지 할당연산자(=) 왼쪽에는 (배열.. 2021. 1. 12.